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9

애플 매일 살펴보기 저는 삼성증권 계좌에 자산 20%의 비중으로 애플 주식을 갖고 있어요. 그리고, 투자후 수익은 32.22%의 효자 종목입니다. 2021년 여름?쯤 부터 매수하기 시작한 원금 78만원 가량에 대해서는 플러스인데, 올해 투자한 14,000가량은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네요. 모든 종목을 다 추적할 순 없지만 애플이라도 매일 주가를 살펴보면 어떨까, 매달 한 주씩 모아볼까하는 2022년 목표를 가지고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신문 기사는 워낙 많으니 제가 거래하는 삼성증권에 들어가서 살펴보았어요. 그저께 조금 내렸길래 한 주 추가매수했는데, 또 내렸네요? 그 날도 사자마자 내려서 속상했는데, 오늘 사면 또 흘려내리겠죠?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애플 잘못이 아닌 것 같았는데, 시장의 금리 인상말고 자체의 안 좋은 .. 2022. 1. 7.
기술주 급락 이유 불과 어젠가 주가 최고치 경신했다고 난리더니, 오늘 소수점 투자하는데 전부 파란불이길래 뭔가 하고 알아보니 이유가 있었네요. 코스피지수가 한 달여 만에 다시 2950선으로 내려앉았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예상보다 빨리 긴축에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며 나스닥이 급락한 게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보기술(IT), 콘텐츠 등 기술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 또 그게 우리 증시에도 영향을 주었군요. 5일 코스피지수는 1.18% 하락한 2953.97에 마감했다. 기관이 1조3405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투자자들이 1조3051억원, 외국인이 322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지수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을 1조1908억원어치 순매도하며 기관의 현물 매도를.. 2022. 1. 5.
KTB투자증권, 투자서비스 신규 론칭 이벤트(100% 1만원 현금 지급) 머니트리앱에서 KTB투자증권 계좌를 개설하는 모든 고객에게 CMA계좌로 10,000원 현금을 100% 지급하는 행사를 하고 있네요. 이벤트 기간은 2021년 12.23부터 2022년 2.20(일)까지 입니다. 지급일은 매 수요일이네요.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방법으로 참여하셔서 모두 현금 줍줍하세요~ 2022. 1. 2.
IRP계좌의 활용 1.TDF펀드와 2.리츠, 3.ETF 연금저축에서 ETF는 투자하고 있으므로 TDF펀드와 리츠만으로 운용하면? TDF2040 수익률? 리츠 수익률 연5%목표 미국의 사례 미국은 퇴직연금제도 가입률을 높이고 수익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2006년 연금보호법(Pension Protection Act)을 제정해 이를 바탕으로 디폴트 옵션 제도를 빠르게 정착시켰다. 미국에서 2006년 연금보호법이 적용되기 이전에는 디폴트 옵션을 통해 손실이 나면 법적 책임을 사용자가 부담해야 했다. 이 때문에 소수의 사용자만이 근로자에게 디폴트 옵션을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2006년 연금보호법 제정 이후 정부가 사용자에게 디폴트 옵션으로 투자해 손실이 나더라도 면책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가입자가 운용 지시를 내리지 않으면.. 2021. 12. 17.
절세 포트폴리오 (목표: 안정적인 노후) ISA 연금저축 IRP 일반계좌 투자 상품 펀드,국내ETF,ELS,DLS,국내주식, 리츠, 예금 펀드, 국내ETF 펀드, 국내ETF, ELS, ELB, 리츠, 예금 모든 상품 추천상품 고배당주식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AB미국그로스펀드 TDF펀드 해외 개별주식 (화이자,애플...) 플랫폼 주식 (네이버, 카카오...) Tiger미국테크Top10ETF Hanaro글로벌럭셔리펀드 해외ETF KOSEF미국방어배당성장 에셋플러스 글로벌리치투게더 펀드 제이알글로벌리츠 테마ETF(SOL유럽탄소배출권선물ETF) 지수형 스텝다운ELS KTB VIP스타셀렉션 펀드 저축은행 정기예금 KODEX레버리지ETF 0순위 ISA, 연금저축, IRP통장을 개설한다. 1순위 연금저축 400만원 2순위 IRP 300만원 3순.. 2021. 12. 15.
연금통장의 혜택 1.세액 공제 (납부 기간내의 혜택) 납입금액 700만원 한도의 16.5% or 13.5% 총 급여가 5,500만원 이하인 경우 16.5% 공제 (115만 5천원) 총 급여가 5,500만원 이상인 경우 13.2% 공제 (92만 4천원) 가장 이상적인 납입 비율 총 급여가 1억 2천만원 미만인 급여생활자는 연금저축에 400만원, IRP에 300만원 납입 총 급여가 1억 2천만원 초과하는 급여생활자는 연금저축에 300만원, IRP에 400만원 납입하여 총 700만원을 맞추면 924,000~1,155,000원 혹은 1,155,000원의 한도를 꽉 채워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총 급여가 1억 2천 미만이면서 50세 이상인 급여생활자의 경우 연금저축에 200만원을 추가 납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납입.. 2021. 12. 15.
절세통장, ISA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연말을 앞두고 절세 삼총사인 연금저축계좌, ISA계좌, IRP계좌에 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만들어야 하고 활용도가 높은 계좌가 ISA계좌라고 들어서 ISA계좌의 절세 효과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단순히, ISA통장 만들면 200만원까지 비과세라서 좋다더라, 까지만 이해하고 만들기는 했는데 정확히 이해하고 기록해두어야 할 것 같아서 머릿속의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ISA통장은 절세 통장이라고도 불리는데, 순수익에 대해 200만원까지는 비과세(서민형은 400만원까지), 그 이상은 9.9%를 분리과세한다고 합니다. 이때 순수익이라는 말이 참 중요한데요, 일반 계좌와 비교해서 세금을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통장에서 펀드나 주식투자를 한 경우 A예금으로 300만원의 수익, .. 2021. 12. 15.
[신한금투] 처음 해외주식 10주 챌린지 신한금융투자 MTS에 해외주식투자 10주 챌린지라는 미션이 올라와 있습니다. 미션 속에는 김짠부님과 앙찌님이 만드신 동영상이 각각 10개가 올라와 있는데 총 20개의 동영상을 모두 보고 나면 미션이 완료되고, 추첨을 통해 도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처음 주식이라는 챔님의 책을 먼저 읽고 신한 금융투자의 처음 해외 주식 챌린지를 시작했는데, 초보자가 학습하기에 내용이 어렵지 않고 영상이 재미있어서 10주차까지 꼭 완수하려고 합니다. 이런 저런 일로 바쁘다 보니 빠르게 미션을 완수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 문자를 통해 리마인드도 시켜주고 쿠폰도 주며 독려를 해주니 혼자 공부해도 외롭지 않고 계속 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는 것 같습니다. 12월 말까지 행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아직 시간 여유가 있으니 .. 2021. 12. 14.
12/14 환율 달러화는 미국 FOMC를 앞둔 경계감과 영국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으로 인해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확산되면서 강세다. 영국에서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영국 총리의 관련 우려 발언이 이어지면서 금융시장 내 불안심리가 재점화됐다. 이로인해 파운드화가 주요 통화대비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높은데다, 영국발 오미크론 우려가 더해지자 지수 하락과 함께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했다. 이는 달러에 안전자산 수요 측면에서 강세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대외 불확실성과 달러 강세 등에 상승 압력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 2021. 12. 14.
매도 일지 (엘지 유플러스, 인크로스) 지난 6월에 매수했던 LG유플러스를 매도했습니다. 15,100원에 매수해서 6개월간 투자했는데, 1,082원이나 손해보고 정리했어요. 투자금 15,100원 기준 7.16% 손해보고 정리했어요. 지금은 투자금 15,100원, 손실액은 1,082원이지만, 이게 1억 5천만원의 투자금이라면 1천만원 이상의 손실이네요. 과연 투자금과 손실금이 이렇게 크다면 제가 정리할 수 있었을까요? 아님 더 기다렸을까요. 그럼, 왜 LG유플러스에 투자했나 기억을 더듬어봅니다. 배당 횟수를 늘린다는 기사와 증권사의 핑크빛 전망 리포트를 믿고? 투자했던 것 같아요. 디즈니와 손을 잡는다는 기사도 한 몫 했는데, 제가 샀을 때는 이미 전망이 모두 반영되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제가 고점에서 매수 후 엘지유플러스가 자사주 매입에 .. 202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