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OL 중단기 회사채 액티브

포트폴리오 연구/채권

by 프랑프랑- 2025. 3. 16. 18:38

본문

728x90

A- 이상 우량 회사채 선별투자…높은 이자에 자본 차익도 기대 [ETF 줌인] | 서울경제

 

예상 만기 기대수익률 연 3.39%

KOFR 등 단기 금융상품보다 우수

금리 인하 따른 가격 상승 기대도

50bp 하락 시 기대수익률 4.3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국내외 금융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여유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파킹형’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관 투자가의 신규 자금 집행이 활발해지는 ‘연초 효과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가 맞물리며 회사채 시장이 활황을 보이고 있어 관련 상품이 더 주목받고 있다.

7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이 지난달 출시한 ‘SOL 중단기회사채(A-이상) 액티브’ ETF는 안전자산인 우량 회사채를 편입해 시중의 정기 예금이나 단기 금융 상품 대비 높은 이자 수익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이다.


해당 상품은 잔존만기가 3년 이내면서 신용 등급이 A-이상인 회사채나 기타 금융채 등 크레딧 채권(정부가 발행한 채권 외 금융기관이나 기업 등에서 발행하는 채권)에 선별적으로 투자한다. 아울러 1.6년 내외의 듀레이션(투자금 평균 회수 기간) 관리를 통해 금리 변동에 따른 자본 차익 극대화로 시중 금리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한다.

5일 기준 SOL 중단기회사채(A-이상) 액티브의 예상 *만기 기대 수익률(YTM)은 연 3.39%다. 4일 기준 17개 은행 정기 예금 평균인 2.61%보다 높은 수치다.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2.77%), CD91일(2.86%) 등 다른 단기금융상품보다도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향후 한은의 기준 금리 인하에 따른 자본 차익도 기대된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역(逆)의 관계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신한운용에 따르면 듀레이션을 1.63년으로 설정하고 1년 투자했다고 가정했을 시 기준 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하락할 경우 해당 ETF의 기대 수익률은 연 3.97%까지 오른다. 하락률이 50bp일 경우 연 4.38%까지 상승한다.

 

*채권 수익률(YTM)은 금리가 변하면 변동하는데, 대략적인 채권 가격 변동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듀레이션(Duration) 개념을 활용하는 것이다.

<대략적인 채권 수익률 변화 계산법>

채권의 가격 변화율(%)은 듀레이션 × 금리 변화폭으로 근사할 수 있다.

 

채권 가격 변동률≈듀레이션×금리 변화폭

 

즉, 듀레이션(D)이 5인 채권이 있다면, 금리가 0.25%p 하락할 때:

채권 가격 변동률= =1.25%상승

 

👉 채권 가격이 약 1.25% 상승하고, 그만큼 수익률(YTM)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환금성도 뛰어나다. 약정된 만기까지 보유해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정기 예금과 달리 해당 ETF는 언제든 자유롭게 매수·매도가 가능하다. 장기간 자금을 예치할 필요 없이 원하는 기간만큼만 이자 수익을 받다가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현금화할 수 있어 여유 자금을 유동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안성맞춤이다. 더구나 SOL 중단기회사채(A-이상) 액티브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확정기여형(DC)이나 개인형(IRP) 퇴직연금 계좌에서 적립금의 100% 투자가 가능하다. 특히 세제 혜택이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서 활용도가 높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투자적격등급 내 크레딧 채권의 적극적인 편입과 듀레이션 조정을 통해 성과 경쟁력을 꾸준히 유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5JZPOLB/GA09

 

📌 YTM이란? (Yield to Maturity, 만기수익률)

👉 YTM (Yield to Maturity) =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기대되는 연평균 수익률"

채권을 지금 가격에 샀을 때
만기까지 보유하면 매년 몇 %의 수익을 얻게 될지 계산한 것


YTM 공식

YTM은 채권 가격, 액면가, 이자(쿠폰), 만기까지 남은 기간을 고려해서 계산해.

 

 

PP = 현재 채권 가격
CC = 매년 받는 이자(쿠폰)
FF = 만기 때 받는 원금(액면가)
NN = 만기까지 남은 연수
YTMYTM = 우리가 구하려는 만기수익률

보통 엑셀, 금융 계산기, 파이썬으로 계산


🔹 예제: YTM 계산

만기 3년, 액면가 1,000원짜리 채권
표면이자율 5% (매년 50원 지급)
현재 시장에서 950원에 거래됨

👉 이 채권을 950원에 사서 만기까지 보유하면 YTM은 몇 %일까?
👉 엑셀이나 금융 계산기로 풀면,
👉 YTM ≈ 6.12%


표면금리는 5%지만, 싸게 샀기 때문에
실제 연평균 수익률(YTM)은 6.12%로 더 높아!


🎯 YTM의 의미 & 활용

YTM이 높으면 → 채권이 싸게 거래되고 있음
YTM이 낮으면 → 채권이 비싸게 거래되고 있음
금리 상승 → 기존 채권 가격 하락 → YTM 상승
금리 하락 → 기존 채권 가격 상승 → YTM 하락

👉 YTM을 비교해서 어떤 채권이 더 매력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320x10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