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SA계좌에서 국내/해외ETF 매도시 세금

포트폴리오 연구/ISA계좌

by 프랑프랑- 2025. 2. 13. 14:38

본문

728x90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서 해외 ETF 매도 시 세금

ISA 계좌에서 해외 ETF를 매도할 때 세금 혜택이 적용되는데, 계좌 만기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 1. 만기 전(일반 계좌처럼 매도할 경우)

👉 해외 주식·ETF는 양도소득세 22% (지방세 포함) 적용

  •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양도차익의 22%를 세금으로 납부
  • 단, ISA 계좌 내에서는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음출금 시 세금 계산됨

🔹 2. 만기 후(ISA 혜택 적용, 출금 시 세금 부과)

ISA 계좌를 5년 이상 유지하고 만기 출금하면 세금 혜택이 있음.

  • 비과세 한도: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 서민형(총급여 5,000만 원 이하) & 농어민: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일반형: 200만 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은 9.9% 분리과세(지방세 포함)
    • 일반 계좌라면 22% 세율인데, ISA 만기 출금 시 절반 이하(9.9%)로 경감

🔹 예제 (ISA 만기 출금 시)

💰 양도차익 600만 원 발생 시 (일반형 기준)

  • 200만 원 비과세
  • 400만 원 × 9.9% = 39.6만 원 세금 납부
  • 실제 세금 부담율: 6.6% (일반 계좌 대비 세금 절감!)

✅ 결론

ISA에서 해외 ETF를 매도해도, 출금 전까지 세금이 부과되지 않음
만기 출금 시 세금이 줄어들어 절세 효과가 큼!
ISA 만기까지 유지하면 해외 ETF 투자 시 유리 🚀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서 국내 ETF 매도 시 세금

ISA 계좌에서 국내 ETF를 매도할 때 배당소득세(15.4%) 적용 여부가 중요.


🔹 1. ISA 계좌 내에서 국내 ETF 매도 시 (거래 중)

세금 없음!

  • ISA 계좌 내에서 거래하는 동안은 매도 차익에 대해 어떤 세금도 부과되지 않음.
  • 국내 주식형 ETF는 원래 양도소득세가 없지만, 배당소득세(15.4%)가 발생할 수 있음.
  • 하지만 ISA 계좌 내에서는 배당소득세도 이연(출금 전까지 과세 없음)

🔹 2. ISA 만기 출금 시 (5년 이상 유지 후 출금할 경우)

비과세 한도 내에서는 세금 없음,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 비과세 한도: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 서민형(총급여 5,000만 원 이하) & 농어민: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일반형: 200만 원까지 비과세
  • 비과세 한도를 초과한 수익: 9.9% 세율로 분리과세
    • 일반 계좌라면 **배당소득세 15.4%**지만, ISA 만기 출금 시 9.9%만 적용

🔹 예제 (ISA 만기 출금 시 세금 계산)

💰 국내 ETF 투자로 600만 원 수익 발생 (일반형 기준)

  • 200만 원 비과세
  • 400만 원 × 9.9% = 39.6만 원 세금 납부
  • 실제 세금 부담율: 6.6% (일반 계좌 대비 절세!)

✅ 결론

ISA 계좌 내에서는 국내 ETF 매도 시 세금이 부과되지 않음
만기 출금 시 비과세 한도(200~400만 원) 초과분만 9.9% 과세 → 절세 효과 큼!
국내 ETF는 원래 양도소득세가 없지만, ISA로 하면 배당소득세도 절세 가능! 🚀

 

 

ISA만기 해지 시 분리과세 금융소득이 1천만원 초과 2천만 원 이하인 경우

지역 가입자 건보료 산정에 포함되기 때문에 건보료가 올라갈 수 있다.

 

근로소득자인 직장인 가입자의 경우에는

근로 외 소득이 3,4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만 건보료가 인상.

 

 

***증권거래세는 ISA계좌에서도 면제되지 않는다.(일반계좌와 동일)

국내주식 매도시 0.15%

 

 


일반 계좌에서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거래하여 발생한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된다. 

배당소득으로 간주되면 매도할때 매매차익에 대하여 15.4%에 수수료를 원천징수한다. 

 

320x10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