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2/14 (7)
사건의 지평선

https://youtu.be/5UUUfgAOM8k?si=0LLgIOKsG1VsxYMn 박곰희TV보다가 충격!연금개시 이후에는 운용이 안되는 증권사가 있다고.정확시 어떤 증권사인지 말 안해주고, 대형증권사는 거의 되지만안되는 증권사가 있다며, 각자 확인해보라고 한다. 흠...하도 많이 이용해서 NH, 한투, 미래에셋, 키움.3군데에나 문의해야 한다... 덜덜식구들 각자 연저펀1개씩, 남편은 IRP 추가해서 4계좌.너무 여기저기에 계좌개설해서 따로 운용하지 말아야 겠다. 확인 후 업데이트 할 것!연금 개시 후 운용방법은일부 팔아서 수령하고싶은 만큼 연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계속 굴리면 된다. 키움은 - 계속 운용(주식 매매) 가능. 추가 불입도 되나???미래에셋 - 개시 후에도 운용은 되지만, 추가 납입..
https://youtu.be/Ek9oUvOemno?si=c0X0-02nTHKIgMSK어쩌다보니 타이거랑 에이스로 ETF를 매수하고 있는데나스닥100은 ACE에서 KODEX로S&P500은 타이거로 쭉 가는걸로. 이중과세 논란으로 미배당주들 거의 정리했는데 SCHD는 어쩌지?이건 그냥 직투해야 하나? 이제 연저펀에는 SOL미당만 남아있는 상태인데오늘 신문기사에서 15.4%-5.5%는 세금 환급 해주기로 했으니 기다려볼까, 어쩔까 고민.

ETF는 수익률을 추종ETN은 수익률을 보장ET : exchanged trade 공통F는 펀드, N은 NOTE 채권 ETF는 자산운용사가 망해도 신탁회사에 증권을 맡겨 두기때문에 위험도가 적다ETN은 운용사가 망하면 돈이 날아갈 수도. 예)리먼 브라더스 사태(=2008년 금융 위기)

컴알못이라 한국투자증권 HTS 프로그램 다운받고 싶은데어떤 걸 다운로드 해야할 지 몰라 잠시 고민.검색해서 보니 64비트용 다운받으면 될 것 같아서 위에 걸로 선택.
연 8% 수익률로 10년간 투자할 경우, 총 투자수익률은 약 115.9%복리 효과로 인한 결과로, 다음과 같이 계산: 1. 10년 후 가치 = 초기 투자금 × (1 + 0.08)^10 2. 1.08^10 = 2.159 3. 이는 초기 투자금의 215.9%4. 따라서 순수익률은 215.9% - 100% = 115.9%이러한 장기 투자의 복리 효과는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식으로 투자할 경우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그러나 실제 투자에서는 시장 변동성, 인플레이션, 세금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Citations: [1]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7331[2] https://www.kofia.or.kr/npboard..
📌 ISA 계좌에서 ETF 매도 시 매매비용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서 ETF를 매도할 때 발생하는 매매비용은 일반 계좌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세금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 1. ISA 계좌 내 ETF 매매비용 (공통 비용)✅ 매매 시 발생하는 비용 (국내·해외 공통)증권사 매매 수수료: 증권사마다 다름 (약 0.003%~0.3%)유관기관 수수료: 한국거래소(KRX), 예탁결제원, 해외 거래소 비용 포함환전 비용 (해외 ETF 거래 시): 원화 → 외화 변환 시 적용✔ ISA 계좌에서도 ETF 매매할 때 기본적인 수수료는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부과됨🔹 2. ISA 계좌 내 국내 ETF 매도 시 매매비용✅ 기본 매매비용증권사 수수료: 0.003%~0.015% 수준유관기관 수수료: 약 0.003..